경기도의회 이영주 도의원, ‘청소년 교통비 지원’...농촌지역 청소년에 택시비 지원 제안

道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농촌지역 청소년은 혜택 못받아

정은아 기자 | 입력 : 2023/09/14 [18:17]

 

▲ 경기도의회 이영주 도의원


[경기뉴스미디어=정은아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영주 의원(국민의힘, 양주1)은 12일 2023년도 제371회 제3차 임시회 추경예산 교통국 심사에서 청소년 교통비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도내 농촌지역 청소년에 대하여 택시비를 지원해 줄 것과 도내 시군의 재정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경기도 공공관리제 일방 추진 대신 경기도 특성에 맞는 버스 운영 체계를 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먼저, 이영주 의원은 이번 교통국에서 추경 요구액에 증액 편성한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128억 5천만 원(버스비 지원금 부족분 125억 원, 공유자전거 지원금 3억 5천만 원)과 관련하여 “경기도 내 31개 시군의 특성이 고르게 반영되지 못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서울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사례로 들며 “서울시와 같이 인구가 밀집하고 생활인프라가 풍족한 도심지에서는 청소년의 버스 또는 공공자전거의 활용도가 당연히 높을 것”이라면서 “서울시와 상황이 다른 우리 양주시와 같은 농촌지역의 학생들은 하루에 몇 대 없는 마을버스에 의존해 등하교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그러면서, “도지사님 말씀으로만 수립된 청소년 교통비 지원 정책, 정말 실망스럽다”며, “현실적으로 청소년들이 도가 시행하는 지원 정책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한다면 다른 지원책을 고민해봐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질타하면서 농촌지역 학생들에게 택시비 지원을 검토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서, 전체적으로 버스노선을 개편하면서 준공영제를 도입했던 서울시 사례로 들며 “일방적인 통보식이 아닌 도내 31개 시군의 재정상황 등을 고려한 경기도 공공관리제 추진이 필요하다”면서 “영세한 지역의 버스업체들에게 진입 장벽이 높은 노선입찰형을 통한 노선권은 결국 대기업이 장악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또한, “출퇴근 시간 대에는 고정 노선을 운영하고 낮시간에는 수요응답형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기존 버스에 도입하는 기술을 가진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업체가 있다”면서 “한 개 업체만 고집하지 말고 신기술을 가진 다양한 업체를 고려하는 등 경기도 특성에 맞는 정책을 시행해달라”고 요청하면서 질의를 마무리 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현장속으로
(영상)이재명 체포안 가결뒤 비명계 살해 암시글 올렸는데 법원은 영장기각
메인사진
(영상)이재명 체포동의안 가결에 비명계 일부 의원 살인 예고한 40대 체포
메인사진
(영상)오산도시공사 설립 관련 조례 보류...시의회 민주당 결국 '제동'
메인사진
'지병에 따른 긴급 쇼크'...단식 19일차 이신남, 결국 병원으로 긴급 호송
메인사진
[영상인터뷰]이신남 전 청와대 비서관, 오산시에서 윤석열 정부 규탄 8일차 단식농성
메인사진 없음
[영상]수원시, 인공지능 CCTV로 흉기난동 대응한다
[르뽀영상]오산시 을지훈련...시청 광장에서 실전같은 훈련에 '아찔'
(영상)화성시 맞춤형 공장화재 저감 대책...화재발생률 2.4% 감소
메인사진
(영상)"도민을 먼저 챙기겠다"...김동연경기지사, 취임1주년 소회밝혀
메인사진
(영상)이재준 수원특례시장, "'모두의 도시, 하나의 수원' 만들어 가겠다"
메인사진
김보라 안성시장, "시민중심, 시민 이익을 향한 발걸음은 계속될 것이다"
광고